만만치 않은 결혼 비용...취직 후 열심히 모아도 막상 결혼식 준비를 시작하면 목돈이 훅훅 나가서 부담스럽다.
그럴때, 직장인이라면 근로복지공단에서 지원해주는 혼례비 대출을 이용하자!
연이율 1.5%에, 최대 1250만 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대출 상환도 1년 거치 3년 상환, 1년 거치 4년 상환으로 선택할 수 있다. 1년동안 1만원~2만원 사이 이자만 내다가 (3년 상환의 경우) 약 30만원대 후반, (4년 상환의 경우) 20만원대 후반을 매달 내면 된다.
대출 대상은 결혼예정자(결혼예정일 90일 전 신청 가능)와 신혼부부(혼인신고 이후 90일 내 신청 가능)다.
*결혼예정자는 청첩장 등 결혼 관련 서류를 입증하고, 혼인 후에는 혼인관계증명서를 추가로 제출해야 한다.
**혼인신고일 전 90일은 신청이 불가하다. 무조건 청첩장이나 예식장 계약서 등 '결혼예정일' 90일 전에만 신청 가능하고, 혼인신고 신청은 '신고 후' 신청이 가능.
내가 직접 받은 근로복지공단 혼례비 대출 꿀팁을 정리해봤다!
1. 근로복지공단 대출 홈페이지 접속은 '익스플로러'로 해야.
근로복지 서비스 - 대민용
welfare.kcomwel.or.kr
여기가 바로 근로복지공단 대출 사이트다!
매우 올드한 디자인에...크롬 등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 무조건 '익스플로러'로만 정상 작동 가능. 컴퓨터에 공인인증서가 필수로 설치돼 있어야 하고, 보안 프로그램인 XecureWeb을 설치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내 공지 1번에 나와있으므로 참고.
홈페이지에 접속해 회원가입을 하고 나면, 상단에 [서비스 신청] - [일반근로자 대부신청]을 클릭해 신청한다.
이후 신청 절차를 따라 신청하면 된다.
서류 작성은 크게 어려울 것이 없다! 연봉과 월평균 임금을 적는 란이 나오는데, 회사에 원천징수영수증을 떼달라고 부탁한 뒤 총액을 적으면 된다. 예비 신랑&신부의 인적사항을 적고, 웨딩홀 소재 등을 적은 뒤 '신청'을 누르면 그대로 접수할 것인지 임시저장해둘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미리 적어두고 신청하는 것도 좋은 방법.
접수를 마치면 이렇게 중간 단계를 확인할 수 있다! 처음엔 [미정]으로 뜨고, 공단에서 대출 자격 심사를 하는 과정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2. 관련 서류 제출은 하루 정도면 요청이 온다.
정상적으로 접수가 됐다면, 하루 정도 뒤에 문자로 서류 제출을 요청하는 문자가 온다.
필자는 결혼식 6개월 전에 잘못 신청했다가(...) 공단에서 다시 신청하라는 전화가 다음날 왔다. 이번에 혼인신고 후 다시 신청하니 하루 뒤인 7월 29일에 서류제출을 요청하는 문자가 왔다.
나는 혼인신고 후 신청을 했는데, 1. 가족관계증명서와 2. 혼인증명서 두 개 서류를 요청받았다.
두 개 증명서는 법원의 전자가족관계 등록시스템에서 무료로 발급이 가능하다. (크롬에서도 작동되는 건 안비밀!)
http://efamily.scourt.go.kr/index.jsp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efamily.scourt.go.kr
마찬가지로 공인인증서 인증 후 두 개 증명서를 발급받으면 된다.
이후 문자에서 안내한 팩스 번호로 서류를 송부하면 끝.
3. 서류확인 후 융자예정자 결정!
서류가 제대로 들어갔다면, 카톡으로 융자예정자로 결정됐다는 연락이 온다. 서류 보낸 지 약 2시간 만에 벌어진 일이다. (후덜덜한 우리나라 행정처리 능력!)
근로복지공단 대출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이렇게 뜬다. [융자예정자 결정 완료]
4. 실제 대출실행 완료까지 3일만에 완료!
서류 제출한 다음날 아침....근로복지공단에서 문자가 왔다. 대출 보증서가 발급됐다는 내용!
생각보다 훨씬 빨라서 놀랐다. 문자와 동시에 보증서 번호가 포함된 카톡도 온다.
기업은행 통장이 없던 나는, 전날 기업은행 어플로 비대면 계좌 개설을 해뒀다. 신분증만 있으면 계좌개설이 가능하다.
그냥 어플을 키고, 대출 탭에서 근로자대출을 찾아 신청하기만 하면 된다. 1.5%라고 써있는 연이율이 영롱하다...★
그리고 대출 완료! 든든한 총알을 가득 얻었다 ㅋㅋㅋ
'무난한 후기 > 신혼부부 정부지원 골라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난한주거] 0. 신혼부부 정부지원, 신혼희망타운 선택한 이유 (0) | 2020.07.04 |
---|